스위치 커패시터 파손복원

처음이라도 괜찮아요! 같이 손 떨면서 해봅시다(비전문가용 가이드)


※본 글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정보 공유 목적의 콘텐츠입니다.
소개된 수리 방법은 비공식적인 방식이며,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절차가 아닙니다.

직접 수리를 시도할 경우 제품의 보증이 무효화될 수 있으며, 잘못된 작업으로 인한 추가 손상, 고장, 데이터 손실 등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사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 글은 어떠한 형태의 개조, 불법복제, DRM 우회 등을 권장하지 않으며, 관련된 행위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수리 전 반드시 본인의 기술 수준과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사전 준비물

분류 제품명 / 설명 링크
✅ 필수 0201 1UF 10V K X5R – 파손 된 커패시터 복원 시 사용
(구매 시 옵션유의)
AliExpress 링크
✅ 필수 솔더윅 – 잔납 제거 시 사용 AliExpress 링크
✅ 필수 납땜용 솔더 와이어 – (0.2mm 추천,구매 시 옵션유의) AliExpress 링크
🔶 권장 LCD 디지털 현미경 – 정밀 납땜 시 유용 AliExpress 링크
🔘 선택 현미경 암 스탠드 – 납땜포인트 이동 시 유용 AliExpress 링크
🔶 권장 열풍기, 인두기 세트 – 납땜 시 필요 AliExpress 링크
🔶 권장 크림납 – 열풍기 조합과 좋음 선택 시, 솔더 와이어 생략가능 AliExpress 링크
🔘 선택 실리콘 수리패드 – 나사 보관, 기기 미끄러짐 방지 AliExpress 링크
🔘 선택 알콜스왑 – 보드에 묻은 써멀, 잔 플럭스, 크립납 제거 Coupang 링크
✅ 필수 ARCTIC 서멀구리스 MX-4 (4g) – APU,
히팅파이프 써멀구리스 재도포
Coupang 링크

저는 필요한 부품과 도구들을 모두 알리 익스프레스를 통해 구매했습니다.

"역시 없는 것을 찾는게 빠른 그 나라"

도구 선택은 꼭 저처럼 하실 필요는 없고,
본인에게 편한 방식이나 익숙한 도구를 사용하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장인은 도구 탓을 하지 않는다”
고 하지만.

이 글을 보고 수리를 시도하시는 분들이라면 저와 비슷한 실력일 거라 생각하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0201 X5R 10V 1uF MLCC SMD 커패시터 실제 크기
이미지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x0tWCMzJoA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커패시터가 정말 작습니다.

그래서 현미경이나 열풍기, 비교적 납땜이 쉬운 크림납 사용을 추천 드린 것입니다. 인두기로 저 작은 포인트에 정확히 찍을 자신이 없었거든요.

진짜 농담 안하고 볼펜으로 . 찍어놓은 것 같아요;;

수전증도 있고 정밀 납땜 경험도 많지 않은 저에게는, 포장에서 커패시터를 조심스레 꺼내는 일조차 꽤 어려운 작업이었습니다.

커패시터 50개 중에 6개는 포장에서 꺼내려다 어딘가로 튀고,저 작은 부품 납땜 포인트에 올려놓는 데만 거의 40분이 걸렸습니다.

오른쪽아 제발 좀 진정해

잡담은 여기까지 하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대부분 1, 2번 커패시터는 보통 특정 칩을 납땜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인두기를 가져다 대면, 커패시터가 깨져버립니다.

국내 다른 유저의 사례
해외 다른 유저의 사례
※ 팁으로 정밀한 부품에 납땜을 할 때는 "콕" 찍는다는 느낌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 2번 포인트 파손 시 증상

증상설명
화면 출력 없음부팅은 되지만 화면 출력이 안 될 수 있음
부팅 루프전원 들어오고 닌텐도 로고만 반복되거나 꺼짐
조작 불가부팅되어도 조작이나 감지가 안 되거나, 크래시 발생
발열정상보다 높은 발열 유발 가능 (전원 불안정)
GPU 클럭 제한정상 부팅되어도 그래픽 관련 성능 저하 발생


3번 커패시터는 APU를 보호하는 쉴드를 분리할 때,

핀셋 등의 도구로 무리하게 들어올리다 커패시터가 핀셋에 눌려 깨지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해외 다른 유저의 사례
국내 다른 유저의 사례
※ 3번 포인트의 우측 커패시터가 깨진 경우작업 포인트가 협소합니다.
좌측도 함께 제거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납땜 작업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3번 포인트 파손 시 증상

증상설명
블루 스크린 또는 에러 코드eMMC/SD 카드 또는 USB 연결 불안정 발생 가능성
Joy-Con 인식 불가데이터 라인 노이즈로 인한 인식 문제 발생 가능
무선통신 에러 발생무선 통신 모듈 전원 또는 클럭 노이즈로 인해
와이파이 모듈 인식 실패 가능
슬립 모드 진입 후 깨어나지 않음저전력 회로 불안정 가능성
랜덤 전원 꺼짐 또는 재부팅회로 전반의 안정성 저하 가능

지금 찍어놓은 3개 포인트는 전부 0201 XSR 10V 1uF MLCC 커패시터로 복원하였습니다.


복원 방법

히팅건 및 인두기 사용자를 위 기초 사용법 입니다.

해당 유튜버님께서 사용한 제품은 제가 사용한 제품과는 다른 제품이나, 사용법은 동일하여 게시합니다.

※ 추가로 더 좋은 장비 구경도 하구요 ㅎㅎ

출처: 복구천재 꼬마신발


닌텐도 스위치(Lite) 커패시터 복원 영상

출처: QTronics

닌텐도 스위치(개선판) 커패시터 복원 영상

출처:제이에스컴

국내외 유튜버님들의 영상을 참조하여 각 포인트 작업을 진행하시면 좋습니다!


영상대로 진행했는데도 복원이 안돼요

※ 여기서 부터는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 필요하므로, 더 이상의 복원 시도보다는, 서비스센터(약관 위반으로 A/S 거부 가능성 높음)에 맡기거나 검증 된 전문가에게 수리를 요청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x0tWCMzJoA

위 사진과 같이 동판이 정상적이면 크림납이나, 플럭스를 묻혀 쉽게 작업이 가능합니다만, 납이 동판에 뭍지 않고 떨어져 나온다면...

이미 동판이 떨어진 상태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수리 예시 및 이미지 출처: https://blog.naver.com/fe26aes/222051168638

이때는, 납이 회로와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사진과 같이 기판을 조심스럽게 긁어 동판을 찾아 납땜한 뒤,

점퍼선과 UV본드를 이용해 새로운 연결 경로를 만들어주고 쇼트방지 작업이 필요합니다.

쇼트방지 작업이 생략됐을 때 합선으로 인한,
보드 전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스위치 APU 동판 손상 복원 사례
이미지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x0tWCMzJoA

해외 유저분의 복원 사례입니다.

APU의 커패시터가 위치했던 자리에 부분적으로 더 긁어내어 동판을 노출 시키고,
비스듬하게 남땜을 하여 복원 하셨네요.

다층회로 구조
이미지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x0tWCMzJoA
특히 APU 처럼 여러 구리층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회로인 민감한 부품의 경우에는 동판이 떨어지면 복원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커패시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처음부터 신중하게 작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커패시터 주변 핵심 부품 (APU, eMMC, 기타 반도체, LCD 액정) 등이 과도한 열 또는 쇼트로 인한 물리적 손상이 진행된 경우입니다.

'삼가 스위치의 명복을 빕니다'
이 경우에는 많은 희망을 가지고
이 글을 읽으셨겠지만,

안타깝지만 사실상 복구 불가 선언을..

왜 그렇죠?

닌텐도 스위치의 APU는 단순한 CPU나 GPU가 아니라, NVIDIA의 커스텀 Tegra X1 SoC입니다. 이 SoC 내부 또는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보안 요소들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 보안 키 (fuses): APU 안에 영구적으로 한 번만 쓰기 가능한 보안 퓨즈(fuse)가 존재합니다.
  • 기기 고유 암호화 키: NAND 플래시와 통신하거나 OS를 부팅할 때 필요한 고유 키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 TrustZone 보안 영역: 초기 부트코드와 인증 로직은 하드웨어 Root of Trust 및 TrustZone 보안 환경에서 실행되며, 복호화된 후 단계적으로 로딩됩니다.”

즉, APU는 단순 연산 장치가 아니라 기기 인증과 보안의 중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기마다 고유하기 때문에 다른 APU, NAND를 하나만 교체하면 부팅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기존 기기의 NAND 칩 + APU를 함께 추출하여 다른 메인보드에 이식
  • 또는 원래 기기에서 APU를 추출하여 다른 기기에 보안 키와 NAND를 모두 이식

이러한 작업은 BGA 납땜 기술은 물론이고, eMMC 낸드 리볼링, SPI 플래시 복사, 키덤프 백업/복원 등을 필요로 하며, 일반 사용자가 시도하기에는 난이도가 너무 높습니다.

결론은 NAND와 APU 중 백업 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복원이 불가능합니다.

장비가 더 필요하고, 스위치 구매 비용보다 막대한 추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닌텐도 스위치를 복구하려고 용산에 업체를 차릴 게 아니라면

"중고/신품을
구매하는 것이 낫습니다."

중간중간 장난도 좀 섞여있고, 내용이 모자란 부분도 많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여러분의 스위치 복원이 깔끔하게 성공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Subscribe to Sonny_Blog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